본문 바로가기
종목분석/종목분석

[종목분석] 네이버 (035420) 주가 / 메타버스 / 암호화폐 /

by 이문동개미 2022. 11. 7.
728x90

분석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1. 기업개요
  2. 지분율
  3. 재무제표
  4. 뉴스ㆍ공시
  5. 차트확인
  6. 나의생각

 

 

1. 기업개요

구분 시가총액 종목명 현재가 대표이사
 코스피 27조 7,243억 네이버  169,000   최수연
  • 동사는 국내 1위 포털 서비스를 기반으로 광고, 쇼핑, 디지털 간편결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공공/금융 분야를 중심으로 클라우드를 비롯한 다양한 IT 인프라 및 기업향 솔루션 제공을 확대해가고 있음.
  • 네이버파이낸셜, 네이버웹툰, 스노우, 네이버제트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했음.
  • 2022년 2분기 기준 매출은 서치플랫폼 45.12%, 커머스 22%, 핀테크 14.66%, 콘텐츠 13.16%, 클라우드 5.06%로 구성됐음.

  • 서치플랫폼 - 검색, 광고로 구성되어 있다.
  • 커머스 - 커머스광고(쇼핑 관련 검색과 디스플레이 광고), 중개 및 판매 수수료, 멤버십 매출
  • 핀테크 - 네이버페이, 디지털금융 서비스
  • 콘텐츠 - 웹툰, 웹소설, 뮤직, 스노우, 제페토
  • 클라우드 -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과 웍스모바일, 클로바CI

 

2. 지분율

<최대주주 및 5% 이상 지분율 및 추이 리스크 체크>

- 최대주주 국민연금공단 8.29%
<외국인, 기관 지분율 특이사항 체크>

- 외국인 보유비중 49.74%
- 외국인, 기관 매수가 들어 오는 것으로 보인다.

<시가총액이 낮은 회사일 수록 대표이사의 지분을 확인 하자 = 회사에 대한 애착심, 내부자 매도 = 먹튀>

 

3. 재무제표

3.1 당기순이익 (별도)

2017 2018 2019 2020 2021
8,494 억 9,004 억 10,925 억 11,969 억 15,248 억
2021/06 2021/09 2021/12 2022/03 2022/06
3,737 억 4,382 억 4,113 억 5,989 억 2,589 억

 

  2017 2018 2019 2020 2021
매출액 29,307 억 34,590 억 39,000 억 41,266 억 50,187 억
영업이익 11,782 억 12,635 억 13,938 억 14,408 억 15,587 억
- 5년간 매출액, 영업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3.2 재무비율(%)

  2017 2018 2019 2020 2021
부채비율 35.80 30.10 20.65 21.50 38.90
유보율 30,881.10 35,416.41 41,886.48 51,333.32 62,993.89
당좌비율 207.32 89.85 96.60 75.17 131.15
- 부채비율이 낮고, 유보율이 매우 낮다. 

<부채비율 100% 이하 회사에 투자하자>

<당좌비율 100% 이상 회사에 투자하자>

 

3.3 배당금

2017 2018 2019 2020 2021
289 원 314 원 376 원 402 원 511 원
배당수익률 : 0.29 %

 

3.4 PBR

2017 2018 2019 2020 2021
5.62 3.44 4.44 5.67 5.97
<동일업종비교>
- NAVER : 2.75
- 카카오(3.42), 카페24(0.89), KG이니시스(1.09)

 

4. 뉴스ㆍ공시

 
호재 뉴스  
악재 뉴스 네이버, 장중 3%대 약세…“3분기 영업익 부진” [증시이슈]

증권가, 네이버 목표가 하향…"포쉬마크 인수에 수익성 훼손"
 - 포쉬마크 인수가 독이 될지 약이 될지는 지금은 알 수 없다. 하지만 포쉬마크도 적자긴 하지만 꾸준히 성장 중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네이버가 국내, 일본 외 미국 시장 까지. 글로벌한 기업이 되고 있는 것이 큰 점수를 줄 수 있을 것 같다.

<호재뉴스 : 무상증자, 자사주 매입, 고배당, 신제품 개발, 특허 취득, 증권사 매수 추천 리프트  발표, 실적개선, 정부 정책 추진, 신규 지수편입, 테마 이슈, 액면분할(병합), 경영권 분쟁>

<악재뉴스 : 유상증자, 주식관련사채 발행, 무상감자, 불성실공시 법인 지정, 관리종목 지정, 적정이 아닌 감사의견, 실적악화, 정부와 글로벌 규제 강화, 환율 이슈, 원자재 가격 인상(인하), 소송, 횡령, 최대주주, 자사주, 회사 임원 고점 매도>

 

호재 공시  
악재 공시  

<악재 공시: 유상증자, 주식관련사채 발행, 불성실공시 법인 지정, 무상감자, 관리종목 지정 등>

 

728x90

5. 차트확인

고점에서 많이 하락한 상태이다. 가격적인 메리트는 있어 보인다.

 

6. 나의 생각

매수이유 1. 가격적인 메리트가 있다. 
2. 기관, 외국인의 매수가 들어 오고 있다.
보류이유 1. 글로벌, 시장상황이 좋지 않다. 

 

 

 


이 글은 주관적인 의견이며 절대 투자 권장, 권유 글이 아닙니다.
투자 판단과 의사결정 그리고 거래에 대한 모든 손익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