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목분석/종목분석

[종목분석] SK바이오팜(326030) 주가 / 제약바이오 / 제약업체

by 이문동개미 2022. 6. 7.
728x90
종목명 SK바이오팜(326030) / 코스피
시가총액 6조 5,627억
대표이사 조정우
배당률 없음

※위 내용은 작성일 기준입니다.


바이오주 1등인 삼성 바이오로직스를 사자니 많이 올라 있고, 시가총액도 높은 상태라, 기대 수익률이 낮을 것 같아 동일업종 중 조금 싼 주식이 뭐가 있을까 하다가 SK바이오팜을 발견하였다.

 

2022-02-08  급등-지난해 흑자전환에 급등

 

 

코로나 유동성장에 급등을 했던 종목, 공모가 4만9천원에 최고가 269,500원 까지 급등을 보여 줬던 종목이다.그 이후로 지금 까지 계속 하락 추세를 이어 가고 있으며, 50% 이상 가격이 빠졌다.

 

가격적인 메리트는 있어 보이는데, 매수를 해도 될지. 어떤 기업일지 한번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분석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1. 기업개요
  2. 주주현황
  3. 재무제표
  4. 차트확인
  5. 관련뉴스

 

 

 

기업개요

기업개요, 최근 연혁, 주요 제품을 확인하면서 어떤 회사인지 기본 정보는 파악해보도록 하자.

 

  • 동사 및 동사의 자회사는 신약개발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세노바메이트 및 솔리암페톨의 성공적인 신약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뇌질환 및 수면질환 관련 신규 물질 발굴을 진행 중.
  • CNS 질환의 약물 개발뿐만 아니라, 항암 분야에서 유효 물질을 발굴하고 개발하기 위해 연구에 매진함.
  • 동사의 매출구성은 세노바메이트 약 93.15%, 솔리암페톨 약 6.04%, 기타 약 0.82%로 이루어져있음.

⇒ 신약개발 및 판매 사업을 하는 회사이다.

⇒ 세노바 메이트는 뇌전증 치료제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주주현황

시가총액이 낮은 회사는 대주주 지분을 꼭 확인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이건 회사에 대한 애착심과 관계가 있고, 지분 없거나 내부자 매도는 먹튀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 최대주주인 SK은 처음 보유지분은 75% 였다. 21년 2월에 일부 지분을 매도한 것을 확인하였다.

⇒ 국민연금 지분 변화는 확인할 수 없었다. 공모주 청약으로 매수를 한 것으로 봐야 할 것 같다. 

 

 

재무제표

최소한 적자가 있는지 없는지 정도는 파악을 하고 투자하자. 

⇒ 21년부터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흑자로 전환되었다.

 

⇒ 자본도 증가하고 있다.

 

⇒ 공모주 청약으로 얻은 돈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 아직 까지는 유상증자나, CB 전환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 21년도부터는 좋아지고 있지만, 일단 좀 지켜봐야 될 것 같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이다. 회사의 지불능력을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분석지표로 유동부채의 몇 배의 유동자산을 가지고 있는가를 나타내며 이 비율이 높을수록 지불능력이 커진다. 200%가 이상적이며, 2대 1의 원칙이라고도 한다.

 

유보율 : 

기업의 잉여금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로, 사내에 얼마나 많은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이다.

 

이자보상배율 : 

기업이 수입에서 얼마를 이자비용으로 쓰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1보다 작은 회사는 영업해서 벌어 들인 돈으로 이자도 못 갚는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728x90

 

차트확인

⇒ 240일선 아래, 구름 때, 하락 추세선 근처에서 횡보 중이다. 매수세가 붙지 못한다면, 추가 하락이 발생할 수도 있는 구간으로 보인다.

 

 

업종 비교

⇒ 네이버 업종 비교 자료이다. PBR이 17.14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 보면 15 정도이다. 그래도 다른 기업들 보다도 높다. 장부 가치보다 고평가로 볼 수 있는 부분이라 판단된다.

 

 

관련 뉴스

https://pharm.edaily.co.kr/news/read?newsId=01380886632358768&mediaCodeNo=257 

 

K제약·바이오, 中시장 진출 박차

코로나19 엔데믹에 발맞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세계 2위 의약품 시장인 중국은 K제약·바이오에게는 기회의 땅이다. 이미 국내 및 해외에서 인정받은

pharm.edaily.co.kr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2052508262589710 

 

"뇌전증 신약 1090억원"… SK바이오팜, 첫 사회적 가치는? - 머니S

SK바이오팜이 첫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창출 실적을 발표했다. SK 주요 관계사들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일환으로 2019년부터 매년 SV 전략을 수립·시행하고 경제·사회에 기여한 가치

moneys.mt.co.kr

 

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2053115080273371 

 

"이번엔 다르다"… 바이오에 발담군 대기업들 - 머니S

[소박스]▶기사 게재 순서① "이번엔 다르다"… 바이오에 발담군 대기업들② 몸집 불리자… 인수합병 나선 바이오 ③ 대기업 바이오 진출, 성공일까 무덤일까[소박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moneys.mt.co.kr

 

 


개인 의견 :
PBR이 너무 높아서 매수가 좀 꺼려진다. 차트도 아직 하락 주세를 이어 가고 있고 매수세가 들어오거나 한 흐름도 아직 없다. 고점에서 50% 이상 빠져 있어서 가격적인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차트가 아직 하락에서 빠져나온 것은 아니기 때문에 추가 하락이 있을 수 있다 생각이 든다. 이 종목은 조금 더 지켜보도록 해야겠다.

 

이 글은 제 주관적인 의견이며 절대 투자 권장, 권유 글이 아닙니다.
투자 판단과 의사결정 그리고 거래에 대한 모든 손익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