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명 | 누리플랜(069140) / 코스닥 |
시가총액 | 541억 |
대표이사 | 이규홍,이강우 (공동대표) |
배당률 | 없음 |
※위 내용은 작성일 기준입니다.
2021-06-18 52주 신고가-도시재생 수혜 관련주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
2021-06-18 급등-도시재생 수혜 관련주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되며 급등
2021-06-16 52주 신고가-윤석열 전 검찰총장 도시재생사업 필요성 언급 모멘텀 지속 속 도시재생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2021-06-16 급등-윤석열 전 검찰총장 도시재생사업 필요성 언급 모멘텀 지속 속 도시재생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올해에는 특별히 급등을 하거나 한 흐름은 없는 것 같다. 작년에 윤석열 대통령 도시재생 관련주로 부각되어 상승을 보여준 종목인데, 부동산이나 새 정부 관련 주는 아직 시장에서 재료가 살아 있다고 생각되어 이 종목에 대해 분석을 해보았다.
분석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 기업개요
- 주주현황
- 재무제표
- 차트확인
- 관련뉴스
기업개요
기업개요, 최근 연혁, 주요 제품을 확인하면서 어떤 회사인지 기본 정보는 파악해보도록 하자.
- 동사는 1994년에 설립되어 '세상을 아름답고 안전하게 하는 기업'을 모토로 사업을 영위 중임.
- 대기환경 플랜트, 경관조명, 상업조명, 경관시설, 플랜트, 융복합보안 사업에 필요한 설비 생산, 설계, 컨설팅, 시공, 운영, 그리고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책임지는 Total Solution Provider임.
- 동사의 영업 및 판매활동은 본사 영업부를 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매출은 수요자와 직접계약 판매방식을 취함.
⇒ 사업목적이 추가되었다. 이 외에도 과거에 다른 사업을 추가 한적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 해 보인다.
⇒ 이미지를 위해 상호명 변경 내역이 있고, 사업의 목적도 추가 되었다. 통신장비 제조업 외에는 환경과 관련된 사업으로 봐야 될지 의문이다.
⇒ 사업목적과 상호명 변경 부분을 체크한 이유는 이런 부분을 호재로 이용해서 주식을 먹튀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확인을 해보았다. 하지만 누리플랜 기업에 대해서는 이것만 봤을 때는 좀 애매한 것 같다.
⇒ 분기보고서에 가장 매출을 많이 차지하는 사업에 대해서 확인을 해보았다.
⇒ 그 외 사업도 어떤 것이 있는지 정도만 체크하고 넘어가자.
주주현황
시가총액이 낮은 회사는 대주주 지분을 꼭 확인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이건 회사에 대한 애착심과 관계가 있고, 지분 없거나 내부자 매도는 먹튀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 이규홍, 이강우 공도 대표이사들의 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우 최대주주에 대해서 더 확인을 해봐야 될 것 같다.
⇒ 가족 회사 인가 보다.
⇒ 이상우 최대주주는 지분을 조금 늘렸다.
⇒ 이규홍 대표이사는 지분을 많이 가지고 있지도 않지만, 매도도 했다.
재무제표
최소한 적자가 있는지 없는지 정도는 파악을 하고 투자하자.
⇒ 적자 기업에서 20,21 년도는 매출이 발생 하긴 했다.
⇒ 부채와 자본이 거의 비슷하다. 좋지 않다.
⇒ 예상했던 데로 CB 전환이 많다. 재무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회사 자본금 확보를 위해 발행했을 가능성이 높다.
⇒ 재무가 좋지 않다. 유보율은 CB 때문에 많아 보이는 게 아닐까 생각이 된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이다. 회사의 지불능력을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분석지표로 유동부채의 몇 배의 유동자산을 가지고 있는가를 나타내며 이 비율이 높을수록 지불능력이 커진다. 200%가 이상적이며, 2대 1의 원칙이라고도 한다.
유보율 :
기업의 잉여금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로, 사내에 얼마나 많은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이다.
이자보상배율 :
기업이 수입에서 얼마를 이자비용으로 쓰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1보다 작은 회사는 영업해서 벌어 들인 돈으로 이자도 못 갚는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트확인
⇒ 큰 차트를 먼저 확인한다. 유동성장 이전에 박스권으로 매집봉 형태의 차트를 확인할 수 있다. 매직이 꽤 있던 걸로 볼 수 있다. 코로나 유동성장에서 거래량이 박스권 상단 부근에서 많이 발생하였는데, 필자 생각으로는 매집 물량을 모두 털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 240일선, 구름 때 위에서 차트가 형성되어 있다. 차트는 굉장히 좋아 보인다.
⇒ 지금 자리에서 바로 상승을 하기 위해서는 하단 추세선을 크게 깨지 않는 상태에서 흘러야 할 것이다. 흐름은 좀 더 지켜봐야 될 것 같다.
관련뉴스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46176
개인 의견 :
차트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된다. 매집의 흐름도 보여 줬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재무가 그다지 좋지도 않고, 배당도 없기 때문에 오래 보유 하기에는 부담이 있다. 재료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되는데,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도시재생을 끼어서 같이 생각해도 될지가 좀 애매하다. 매수를 한다면, 단타나 스윙으로 대응을 해봐야 될 것 같다.
이 글은 제 주관적인 의견이며 절대 투자 권장, 권유 글이 아닙니다.
투자 판단과 의사결정 그리고 거래에 대한 모든 손익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종목분석 >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분석] SK바이오팜(326030) 주가 / 제약바이오 / 제약업체 (0) | 2022.06.07 |
---|---|
[종목분석] 현대건설기계(267270) 주가 / 건설기계 / 부동산 / 새정부 수혜? (0) | 2022.06.05 |
[종목분석] CJ CGV(079160) 주가 / 영화 / 일상회복 (0) | 2022.06.04 |
[종목분석] 비츠로테크(042370) 주가 / 우주항공 / 전력설비 / 원전 (0) | 2022.06.04 |
[종목분석] KT서브마린(060370) 주가 / 해저터널 / 지진 (0) | 2022.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