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명 | 현대건설기계(267270) / 코스피 |
시가총액 | 9,181억 |
대표이사 | 최철곤 |
배당률 | 2.58 % |
※위 내용은 작성일 기준입니다.
2022-06-03 급등-우크라 외교차관, 방한 및 재건 방안 논의 예정 소식에 건설기계 테마 상승 속 급등
분석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 기업개요
- 주주현황
- 재무제표
- 차트확인
- 관련뉴스
기업개요
기업개요, 최근 연혁, 주요 제품을 확인하면서 어떤 회사인지 기본 정보는 파악해보도록 하자.
- 동사는 인적분할하여 설립된 신설회사로 2017년 5월 재상장하였으며, 분할 전 회사인 현대중공업의 건설장비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 건설기계 산업의 시장침체가 새로운 성장 사이클에 접어들면서 현지화 모델,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한 신흥시장, 주력시장에서의 판매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 19년 분사하였던 현대코어모션은 2021년 10월 1일부로 현대건설기계와 합병하였음.
⇒ 건설기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도 한번 보고 넘어간다.
주주현황
시가총액이 낮은 회사는 대주주 지분을 꼭 확인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이건 회사에 대한 애착심과 관계가 있고, 지분 없거나 내부자 매도는 먹튀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 최대주주는 현대제뉴인, 비상장 회사로 계열사인 것을 확인하였다.
⇒ 국민연금공단에서 일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 분기보고서에서 최대주주 변동 내역을 확인하였다. 해당 내용을 참고만 한다.
⇒ 최대주주, 현대중공업 지주에서 현대 제유인으로 변경되는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국민연금공단의 지분 변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민연금공단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고 무조건 좋은 회사로 보기는 어렵다. 예로 HDC 현대산업개발은 광주 사고로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을 하였다. 하지만 좀 더 관심을 가게 되는 것은 사실이다. 아무 이유 없이 국민연금공단에서 지분 투자를 하지는 않았을 것 같은 느낌이 있다.
재무제표
최소한 적자가 있는지 없는지 정도는 파악을 하고 투자하자.
⇒ 매출원가가 때문에 매출액이 20년도에서 21년도에 증가한 것으로 보이는 것 같다.
⇒ 당기순이익이 2019, 2020년도에는 적자였다. 하지만 2021년도에는 흑자로 전환되긴 했다.
⇒ 부채가 많다. 건설 쪽은 부채가 많은데, 관련 업종의 영향으로 봐야 하는 건지는 정확하지는 않다.
⇒ 그래서 자본금 변동내역까지 확인해봤지만, 유상증자나 CB 전환 같은 건 최근 내역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 건설 쪽이라 부채가 높은 거라면, 그 부분을 제외한다면 재무가 양호하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이다. 회사의 지불능력을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분석지표로 유동부채의 몇 배의 유동자산을 가지고 있는가를 나타내며 이 비율이 높을수록 지불능력이 커진다. 200%가 이상적이며, 2대 1의 원칙이라고도 한다.
유보율 :
기업의 잉여금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로, 사내에 얼마나 많은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이다.
이자보상배율 :
기업이 수입에서 얼마를 이자비용으로 쓰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1보다 작은 회사는 영업해서 벌어 들인 돈으로 이자도 못 갚는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트확인
⇒ PBR=0.75 / 전 기간 차트 확인 시 현재 주가의 위치도 고점은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6월 3일에도 거래량이 실린 장대 양봉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코로나 유동성장에서도 저가 매수세가 들어왔다고만 보인다. 일단 스윙으로 접근하기에도 나쁘지 않아 보인다.
관련뉴스
https://www.nbntv.co.kr/news/articleView.html?idxno=972658
⇒ 새 정부 부동산 정책 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개인 의견 :
재무, 차트, 재료 다 괜찮은 것 같다. 새 정부 정책으로 부동산 관련주가 수혜를 볼 거라고 생각한다.
건설이 아닌 건설기계라 좀 애매하긴 하지만 재건 이슈로 상승하는 것으로 보면, 수혜를 보지 않을까 한다.
그리고 차트가 굉장히 메리트가 있어 보이기 때문에 관심 있게 지켜봐도 좋을 것 같다.
이 글은 제 주관적인 의견이며 절대 투자 권장, 권유 글이 아닙니다.
투자 판단과 의사결정 그리고 거래에 대한 모든 손익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종목분석 > 종목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분석] 카카오게임즈(293490) 주가 / NFT / 게임 (0) | 2022.06.16 |
---|---|
[종목분석] SK바이오팜(326030) 주가 / 제약바이오 / 제약업체 (0) | 2022.06.07 |
[종목분석] 누리플랜(069140) 주가 / 건자재 / 건설기계 / 도시재생 (0) | 2022.06.04 |
[종목분석] CJ CGV(079160) 주가 / 영화 / 일상회복 (0) | 2022.06.04 |
[종목분석] 비츠로테크(042370) 주가 / 우주항공 / 전력설비 / 원전 (0) | 2022.06.04 |